• 최종편집 2024-04-23(화)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8.02 13:44   조회수 : 1,29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신윤균 칼럼리스트] 인간을 이성적 존재라고 한다. 감정에 얽매여서 즉흥적으로 행동하기 보다는 심사숙고하고 자신의 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x thinking)를 통해서 행위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사람에게는 직관(直觀)이라는 것이 있고 직관을 통해서 행위를 한다고 한다.

 

서양 철학자 칸트는 “직관 없는 개념은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라고 말한다. 이는 직관에서 행위를 하되 감정과 이성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올바르게 행위 하는 것이 인간이 지닌 특성이다.

 

우리는 이러한 행위의 올바름을 위해서 많은 경험을 이야기 한다. 경험에는 직접 경험과 간접경험으로 나눈다. 세상의 모든 것을 경험 할 수 없다. 그리하여 우리는 간접 경험을 자주 이야기 하며 책 읽기를 권장한다.

 

이런 독서를 통해 새로운 관념이 생기고 관념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나선형 식으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해 나간다. 나선형식 사고란 과거 지식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통해 새로운 것을 습득한다는 것이다. 매우 흥미 있는 제목의 책을 하나 소개 하려고 한다.

 

『포크는 왜 네 칼퀴를 달게 되었나』 라는 책이다. 저자는 ‘테크놀로지의 계관시인’이라 불리는 헨리 페트로스카 이며 현존하는 공학자이다. 『연필』에서 그냥 보기에는 단순해 보이는 인공물의 진화 과정을 추적하여 디자인과 발명에 적용되는 보편적 원칙을 밝혀낸 공학적 탐구를 좀더 확대시켜 집필한 역작이 『포크는 왜 네 칼퀴를 달게 되었나』이다.

 

1992년에 출간한 책으로서 ‘작은 물건에 큰 뜻이 숨어있다“라는 명언처럼 일상생활 에서 쓸모가 많지만 사소해 보이는 간편한 발명과 디자인에 얽힌 사회적 • 기술적 요인과 배경을 분석하여 모든 인공물의 발명 • 창조 • 혁신에 요구되는 기본 원리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개선의 여지는 항상 있다.‘ 라고 하면서 완벽하지 못한 인공물에 대한 비난을 하면서도 결국 적응하게 되는 것은 인간의 능력이라고 한다. 저자는 우리에게 ’쓸모 있는 물건‘으로 두 가지 측면을 보여주었다.

 

첫째, 자연중심 기술이다. 자연을 스승으로 삼고 인류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해법을 모색하는 청색기술은 녹색기술의 한계를 보완할 가능성이 있다. 녹색기술은 환경오염이 발생한 뒤의 사후처리적 대응의 측면이 강한대 비하여 청색기술은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을 사전에 원천적으로 억제하려는 기술이다.

 

흔해 빠진 물건에서 위대한 디자인의 실마리를 찾아내는 안목을 배운 다면, 위대한 발명가인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얻거나 자연을 모방해서 친자연적인 물건을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다.

 

둘째, 융합(convergence)이다. 서로 다른 학문 • 기술 • 산업 영역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주제에 도전하는 지식융합, 기술융합 등 새로운 가치 창조의 원동력이 있어야 한다. 산업융합에서는 기술 • 제품 • 서비스가 서로 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대이다. 대표적인 예로, 스티브 잡스의 휴대폰이다. 인문학적 상상력을 정보기술에 접목한 잡스의 융합적 사고방식이 세계시장을 석권한 것임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전술한 나선형식 사고의 전환으로 하나의 예를 들어본다면 우리 고장은 한말 의병의 본향이라는 자부심을 자부심으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상품화로 진보하여야 할 것이다. 한말 의병의 유형에는 여러 유형의 의병이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 고장의 의병은 의병의 최고봉인 성리학으로 무장한 사상적 기틀을 가지고 있다. 한말의 유명한 華西學派로서 華西 李恒老를 중심으로 한 한말 의병으로 하나의 인문학적 가치를 가지고 제천이 주창하는 한방과 연계한 융합산업의 융성이 필요한 것 같다.

 

얼마 전 우리 고장 제천의 청풍 호반에 개장한 케이블카에 대한 주변 관심이 증대하여 많은 관광객이 다녀갔다. 다녀간 관광객이 일회성인지 아니면 다시 찾는 관광객으로 발전을 하여 우리에게 높은 고부가 상품으로 성장 할 것인가는 우리의 몫이다.

 

관광산업은 꿀뚝이 없는 산업으로 우리에게 가장 친환경적인 산업이다. 이런 좋은 자원을 어떻게 활용을 하여야 우리 제천의 먹거리로 제2의 번영기를 맞을지에 대하여 심사숙고하여 고심을 하여야 한다.

 

현재 관광산업은 doing + being + seeig = healing 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자원은 우리 주변에 많다. 의병이야기, 약채락의 건강한 음식, 청풍호, 의림지, 제천 중심의 여러 비경들, 한방 건강 이야기 등을 어울릴 수 있는 자원을 현대인들이 쉬면서, 정신건강과 더불어 육체적 쉼, 교육적 가치 활용을 한다면 단순히 먹고, 마시고 , 놀고 보다는 좀 더 즐기고, 느끼고, 다시 찾고 제천으로 우리 고장이 슬로건으로 내놓고 있는 ”자연 치유 도시 제천“과 가장 적합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가장 깨끗하고 주변 환경이 쾌적한 환경 친화도시로 성장을 한다면 다시 찾아오는 제천시가 될 것이다. 주변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걱정할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주워진 한경 인프라를 더욱 승화 시킨다면 한 번 더 발전하고 우리 스스로를 성장하게 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 결국 이러한 발전은 위에서 언급한 나선형식 사고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사고의 고착(Fixed)은 우리 제천발전에 긴급히 없어져야 할 최대의 적폐일 것이다.

KakaoTalk_20190801_152850571.jpg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외부칼럼]고부가 상품으로 성장 할 것인가는 우리의 몫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